목록팁글
어쨌든, 삶은 아름답다
반응형 스킨 #2는 깔끔하고 예쁘다. 다만 스마트폰 액정을 꽉 채우는 본문은 조금 갑갑한 감이 있다. 마침 구글 서치 콘솔 팀에서 메일도 왔다. 모바일 사용 편의성을 지적하는 내용이었다. 콘텐츠 폭이 화면 폭보다 넓다고. 아무래도 좌우 여백을 띄워줘야겠다. 그런데 문제가 있다. 좌우 여백을 띄우는 방법을 도통 못 찾겠다는 것이다. 구글에서 '티스토리 좌우 여백' 치면 관련 글이 주르륵 나오는데 반응형 스킨 #2에 해당하는 글이 보이지 않는다. 이상하다. 반응형 스킨 #2를 쓰는 사람이 별로 없나보다. 내 눈엔 반응형 스킨 #2 티스토리 기본 제공 스킨 중에 제일 깔끔하고 예쁜 것 같은데. 구글링으로 얻어낸 건 margin이나 padding값을 건들면 된다는 것. 두 차례 정도 시도하다 포기했다. css에..
티스토리 모바일 에디터의 기능은 지나치게 제한적이다. 심지어 예쁘지도 않다. 개중 가장 예쁘지 않은 기능을 꼽자면 단연 이놈이다. 글자 배경색. 글자배경색 아이콘을 눌러서 색깔 선택지만 봤을땐 참 예쁜데 막상 적용하고 나면 읭스럽다. 형광펜 느낌을 주기엔 색이 너무 짙다. 내가 탁한 빛깔을 좋아하지 않는 건 둘째치고, 색이 너무 짙어서 글자가 파묻힌다. 아니, 색 선정을 이따구로 해놨으면 색을 사용자정의로 고를 수 있게 해주던지 ㅂㄷㅂㄷ 그래도 커스터마이징이 자유로운 티스토리니까 글자 배경색 선택지를 뜯어고칠 수 있지 않을까하는 마음에 구글링을 시작했다. 검색, '티스토리 형광펜' 오... 밑줄을 아예 형광펜 느낌이 나게 만드는 방법이 있었다. 많은 글 중, 특히 예쁜 형광펜 쉐이프를 낸 사람도 있었다...
폰트랑 동영상 관련 내용이 특히 유용하다! 내가 한창 과제 따위로 ppt를 만지작거릴땐 저 방법을 몰라서 하나의 폴더에 ppt, 폰트, 동영상을 같이 담았었다. 그래서 항상 발표 전에, 발표할 컴퓨터에 폴더를 옮겨담고 ppt를 켜서 폰트랑 동영상 로딩 경로 꼬이나 안 꼬이나 검토했었는데...!
미국의 존스홉킨스 의대에서 간헐적 단식에 관한 실험을 한 결과, 간헐적 단식이 다이어트에 좋다고 널리 알려졌던 것에 비해서는 다이어트 효과가 적었다고 한다. 그 대신에 항노화, 항암, 치매 예방에 효과가 있다고 ... ...뭐야, 더 좋은데? 저번에 티비에서 한 다큐에서 동물이 소식을 했을 때 나타나는 변화 실험을 한 결과, 수명이 늘었다고 한다. 그와 비슷한 건가 싶기도 하고. 단백질을 잘 챙겨먹으면 포만감이 오래가니 단백질 섭취량을 신경쓰면서 같이 간헐적 단식을 하면 꽤 해볼만 할 것 같다!
나는 원래 네이버 마이박스(구 네이버 엔클라우드) 이용자였다. 작년, 나는 네이버 인플루언서에 선정이 되었었다. 솔직히 날 왜 뽑아줬는지 잘 모르겠다. 인플루언서 진입 장벽 낮을 때 운 좋게 선정이 된 듯 한데 아직도 미스터리. 기껏 되긴 했지만 방치 중이다. 나는 그런 유행에 민감한, 부지런히 뭔가를 해야하는 것을 못하는 모양이다. 여하튼 네이버 인플루언서 선정 기념인지 이벤튼지 뭔지, 네이버 멤버십 1년 무료 이용권을 주길래 덕분에 네이버 마이박스를 낭낭하게 잘 쓰고 있었다. 처음엔 100기가까지 이용할 수 있었는데 지금은 180기가까지 이용할 수 있게 된 것 같다.(기억 가물가물) 네이버 멤버십 1년 무료 이용권이 다음달로 끝이기 때문에, 현재 마이박스에 65기가가 담겨있는 나는 새로운 클라우드를 ..
우클릭 금지가 되어 복사를 할 수 없는 텍스트지만 가끔씩 필요할 때가 있다. 당연히 불펌은 아니고 개인 소장 자료 정리 용으로. 스크린샷이라는 편리한 방법도 있기야 하지만, 내 방식에 맞춰 깔끔하게 텍스트를 정리하고 싶을 때가 있다. 그 때마다 우클릭 해제를 하곤 하는데 자주 하는 게 아니다보니 자꾸만 잊는다. 그 때마다 검색을 하기 귀찮으니 여기에 정리해본다. 1. 크롬 앱을 준비하자. 나는 크롬 앱 이용자가 아니다. 예전에 크롬이 한창 오류가 생겼던 적이 있어서. 그게 똥폰 탓인지 앱 자체의 문제인지는 잘 모르겠다. 하지만 지금은 크롬이 필요하다. PC 환경이면 몰라도 모바일 환경에서는 크롬이 우클릭 해제하기가 좋다. 여기서 우측 상단, 점 세개 땡땡땡 메뉴 버튼을 누르자. 2. 설정 메뉴에 들어가자..